본문 바로가기
제품/자동차

차가 막히는 과학적인 이유

by Begi 2019. 10. 26.
반응형

100대의 차가 50m 간격으로 60km/h 속도로 달리고 있다고 하자.


첫 번째 차가 속도를 50km/h로 줄이면 2번째 차는 첫 번째 차와 완전히 동일한 시점에서 속도를 50km/h로 줄일 수 없다. 첫 번째 차가 속도를 줄인 후 일정 지연 후 속도를 줄이게 된다. 그렇게 되면 앞 차와의 거리가 50m에서 40m 정도로 가까워 졌을 때 속도를 50km/h로 줄이게 된다. 2번 째차는 앞 차와의 거리를 다시 50m로 늘리기 위해 속도를 50km/h이 아닌 49km/h 정도까지 속도를 줄이게 된다. 즉, 첫 번째 차는 60km/h에서 50km/h로 속도를 줄였지만 2번째 차는 60km/h에서 49km/h로 속도를 줄였다.


2번째 차가 49km/h로 줄이면 3번째 차는 48km/h 정도로 속도를 줄이게 된다. 마찬가지로 4번째 차는 47km/h로 속도를 줄이고 51번째 차부터는 완전히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체는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모든 차들이 50m 간격으로 50km/h 속도로 동일하게 달리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특별한 사고가 없다고 해도 차가 막히게 된다. 이것은 군대에서 행군을 할 때도 나타나는 현상으로 앞에 있는 군인의 행군 속도가 변하면 뒤에 있는 군인은 정체 되거나 뛰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