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은 태어나서 자라면서 사회에서 살아가는 방향과 목표를 자연스럽게 받아 들인다. 사회에서 개인에게 많은 것을 요구하지만 사람들은 이것을 잘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학교에 가면 공부를 잘하는 것이 목표가 되고 좋은 직장에 취업해서 돈을 많이 버는 것이 목표가 된다. 결혼해서는 자식을 잘 키우는 것이 목표가 된다.
나이가 들어 은퇴하게 되면 사회는 더 이상 목표를 주지 않는다. 이때 심한 우울증이 올 수 있다.
이러한 삶에 익숙한 사람들은 자신의 목표를 스스로 설정하지 못한다. 그리고, 이러한 삶에 만족하고 사회에서 목표를 주지 않으면 불안해한다.
반응형
'철학과 삶 >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쇼펜하우어 처세술 (0) | 2022.09.15 |
---|---|
통달한 선비는 마음에 맞지 않는 것으로 즐거움을 삼는다 - 채근담 (0) | 2022.09.08 |
몽테뉴의 수상록 (0) | 2022.08.19 |
쇼펜하우어 인생론 (권기철 역) (0) | 2022.07.14 |
쇼펜하우어 저서 '여록과 보유' (0) | 2022.07.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