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자1643 오토닉스 리모트 I/O 리모트 I/O는 통신으로 원격에서 I/O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이다. SCADA의 RTU와 같은 것이다. 아래 사진은 오토닉스의 리모트 I/O로 RS-485 통신(Modbus)으로 원격에서 입출력 접점을 제어할수 있다. 가격은 5만7천원 정도이다. 아래 사진은 ARIO 리모트 I/O로 다음과 같은 통신으로 입출력 접점을 제어할 수 있다. - EtherCAT, CC-Link, ProfiNet, ProfiBus, EtherNet/IP, DeviceNet, Modbus TCP 호환, Modbus RTU 호환 ☞ 오토닉스 리모트 I/O 바로가기 ☞ 솔내시스템 원격 I/O ☞ MOXA Remote I/O ☞ Modbus 통신 규격 ☞ RTU란? 2022. 8. 19.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구조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Thermal Overload Relay)는 다음 사진과 같다.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내부 구조는 다음과 같다. 전류가 흐르면 Heating Coil에 열이 나고 이 열은 바이메탈을 만곡시켜 접점을 붙이고 트립 신호를 출력한다. 조정 다이얼은 바이메탈이 만곡되어 트립신호가 나가는 지점을 바꾼다. 2022. 8. 18. LS 일렉트릭의 전자접촉기(MC) LS 일렉트릭에서 나오는 전자접촉기는 아래와 같이 Metalsol, Susol, Mini가 있다. Metalsol과 Susol의 차이가 뭔지 설명한 자료가 어디에도 없다. Metasol MC를 많이 사용한다. Metasol MC는 다음 사진과 같다. MC를 모터에 사용할 때는 아래 사진과 같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를 붙여서 사용한다. 과부하 계전기 자료는 MC 데이트 시트에 함께 있다. 2022. 8. 17. 전자회로 교과서 책 대학교 전자회로 교과서로 많이 사용되는 책은 Behzad Razavi의 Fundamentals of Microelectronics이다.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책은 Sedra의 Microelectronic Circuits이다. 2022. 8. 13. 열전대 종류 서로 다른 금속을 접합할 때 온도에 따라 두 금속 양단에 생성되는 전압이 달라진다. 이것을 열전대(Thermocouple)라고 한다. 열전대는 온도 측정에 사용되는데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다음과 같이 J, K, T, E, S 타입이 있다. Constantan : 구리 + 니켈 Chromel : 니켈 + 크롬 Alumel : 니켈 + 망가니즈, 알루미늄, 규소 Copper : 구리 Platinum : 백금 Rhodium : 로듐 ☞ 온도 센서 종류 2022. 8. 11. 램프 전원 스위치 연결 램프 전원 스위치는 다음 사진과 같다. 전원을 켜면 램프가 켜진다. 다음 사진의 스위치 단자에서 아래 단자 2개에 금속선이 연결되어 있다. 이 선이 램프에 연결된 선으로 부하측에 연결해야 한다. 위 2개 단자에 220VAC 전원을 연결하고 아래 2개 단자에 부하를 연결한다. 2022. 8. 11. MII 란? MII (Media-Independent Interface)는 MAC과 PHY 칩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표준이다. IEEE 802.3u으로 표준화 되어 있다. MII는 '엠아이아이'라고 읽는다. MII을 사용하면 PHY가 변해도 MAC은 바꾸지 않아도 된다. MII는 속도를 높이고 신호선을 줄인 다음과 같은 다양한 버전이 있다. Reduced media-independent interface (RMII) Gigabit media-independent interface (GMII) Reduced gigabit media-independent interface (RGMII) Serial media-independent interface (SMII) Serial gigabit media-independent .. 2022. 8. 8. FM 라디오 주파수 전 세계적으로 FM 라디오는 87.5 ~ 108.0 MHz를 사용하지만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다. 주파수 간격도 0.05, 0.1, 0.2MHz로 나라마다 다르다. 우리나라에서는 88.0 ~ 108.0 MHz를 사용하고 주파수 간격은 0.2MHz이고 주파수의 소수점 자리가 홀수이다. 즉, 88.1MHz, 88.3MHz, 88.5MHz 등으로 소수점이 홀수이고 간격은 0.2MHz이다. 2022. 8. 8. TRIAC 제어용 포토커플러 TRIAC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포토커플러는 크게 위상제어용과 온-오프 제어용 2 종류가 있다. 위상 제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일반적인 구조의 포토커플러를 사용한다. 온-오프 제어를 할 때는 포토커플러 내부에 제로 크로싱 회로가 내장된 다음과 같은 것을 사용한다. 제로 크로싱 회로는 제로 크로싱을 검출하고 제로 크로싱 할 때만 포토커플러를 온 또는 오프 시킨다. https://www.onsemi.com/products/optoelectronics/triac-driver-optocouplers 2022. 8. 7. AEC-Q101 이란? AEC-Q101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Active Discrete 부품의 스트레스 시험을 규정한 것이다. Active Descrete 부품은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등을 의미한다. Passive 부품인 저항이나 캐패시터 등과 Discret 부품이 아닌 IC 등은 대상이 아니다. AEC-Q101은 미국의 AEC (Automotive Electronics Council)에서 발행한다 AEC 문서는 아래 링크에서 볼수 있다. http://www.aecouncil.com/AECDocuments.html AEC-Q100는 IC에 대한 시험이고 AEC-Q200은 Passive 소자에 대한 시험이다. 2022. 8. 7. 저항 내장 트랜지스터 저항이 내장된 BJT 제품이 있다. 메이커에 따라 디지털 트랜지스터 또는 BRT(Built-in bias resistor transistor) 또는 Pre-bias 트랜지스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KEC KRC101S~106S는 다음과 같다. KRC102S는 R1과 R2가 10kΩ이다. 2022. 8. 7. 여러 MPU/MCU 사이의 통신 방법 한 제품 내에 여러 MPU/MCU가 있을 때 서로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 방법은 다음과 같다. I2C/SPI/UART 통신 - 저속이며 신뢰성이 낮지만 가장 저가로 구현 가능 - I2C는 원래 보드 내부의 IC 사이 통신을 위해 만들어 졌으며 멀티 마스터가 가능 CAN 통신 - 1Mbps 이하 - 신뢰성 높은 시리얼 통신 DPRAM -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 Backplane - PCI, VMEbus, Serial Backplane 등 ☞ VMEbus ☞ Arbiter ☞ I2C 통신 2022. 8. 7. 전자기파 방정식 (맥스웰 방정식) 전자기파 방정식은 맥스웰 방정식으로 유도된다. 진공중의 맥스웰의 4가지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위 식에서 진공중에는 전하가 없기 때문에 첫번째 식의 우변은 0이다. 진공중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4번째 식에서 J는 0이다. 위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미분방정식 형태의 전자기파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위 미분방정식을 풀면 전자기파의 전기장과 자기장 함수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파의 진행 속도는 다음과 같이 유전율과 투자률로 구해지고 이 값은 빛의 속도와 같다. 이것이 맥스웰 방정식의 놀라운 점이다. ☞ 맥스웰의 방정식 2022. 8. 7. LS 일렉트릭 계전 계측기기 현재 LS 일렉트릭에서 나오는 계전 계측기기는 다음과 같다. GIPAM 시리즈는 계전기이고 GIMAC 시리즈는 계측기이다. 2022. 8. 7. 마크네틱 공중 부양 장치 원리 자석을 공중으로 부양시키는 장치는 다음 그림과 같다. 전자석의 힘으로 자석을 위로 끌어 당긴다. 전자석 아래에는 홀센서가 붙어 있다. 홀센서는 자석이 전자석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짐에 따라 출력전압이 변하여 거리를 감지한다. 제어기에서는 홀센서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피드백받아 전자석 출력을 MOSFET으로 제어한다. 아래 동영상에 자세한 원리와 제어기 회로도가 나와있다. ☞ 홀센서 종류 ☞ 다른 자기 부상 장치 2022. 8. 6. DMX512을 이용한 LED 제어 DMX 통신을 이용하여 LED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LED 제어기가 필요하다. 아래 사진은 DMX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30채널 LED 제어기이다. RGB LED 10개를 제어할 수 있다. 알리익스프레스에서 8만원(1채널당 2,700원) 정도에 판매한다. 다음과 같이 DMX512 콘솔을 이용하여 LED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PC에 USB-DMX 컨버터를 연결하여 LED를 제어할 수도 있다. ☞ DMX512 통신 2022. 8. 6. 콘덴서와 캐패시터 전기분야에서 콘덴서(Condenser)는 캐패시터(Capacitor)를 의미한다. 캐피시터는 원래 콘덴서로 불렸다. 하지만, 현재 영미권에서는 캐패시터의 의미로 거의 사용되지 않고 응축기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예외적으로 Condenser Microphone에서는 콘덴서를 캐패시터의 의미로 사용된다. 2022. 8. 5. BJT 스위치 회로 해석 BJT를 이용한 스위치 회로는 다음과 같다. ON일 때 베이스에 흐르는 전류는 다음과 같다. IB = (VIn - 0.7) / R1 이 때 콜렉터에 흐를 수 있는 최대 전류는 다음과 같다. IC = VCC / R3 ON일 때 베이스에 흐르는 전류가 커질수록 콜렉터에 흐르는 전류는 커진다. 베이스에 흐르는 전류가 작으면 콜렉터에 흐르는 전류가 작아져 VOut의 전압이 상승한다. 계산 예#1 VCC=+24V, R1=47kΩ, R3=47kΩ라면 베이스 전류는 다음과 같다. IB = (24 - 0.7) / 47kΩ = 0.5mA 콜렉터에 흐를 수 있는 최대 전류는 다음과 같다. IC = 24 / 47kΩ = 0.5mA 아래 그래프는 MMBT2222의 포화영역을 나타낸다. 베이스 전류가 0.5mA이고 콜렉터 최대.. 2022. 8. 4. 마이크로 마우스 80196 MCU 인텔의 80196은 2000년 전후 마이크로 마우스에 많이 사용되었다. 인텔에서 MCS-96 계열의 다수의 MCU를 생산했다. MCS-96을 흔히 8xC196 또는 80196이라고도 한다. MCS-96은 2007년 단종되었다. MCS-96 계열 MCU 중 많이 사용된 모델은 80C196이다. 80C196KC을 이용한 마이크로 마우스 회로도는 다음과 같다. 2022. 8. 3. 다사 로봇 컨트롤러 분해 2000년 초에 판매된 다사의 단축 로봇 컨트롤러 2022. 8. 3. Buck LED 드라이버 AL8861 Didoes의 AL8861는 Buck LED 드라이버 IC이다. - 입력 전압 : 4.5 ~ 40V - 최대 출력 전류 : 1.5A - 효율 : 97% 이상 AL8861의 내부구조는 다음과 같다. VSET 핀으로 전류를 제어하여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AL8861 회로는 다음과 같다. AL8861은 Buck 드라이버로 PWM 제어를 하기 때문에 리니어 정전류 회로보다 효율이 훨씬 높고 발열도 적다. ☞ 리니어 LED 정전류 회로 2022. 8. 2. MOSFET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 해석 BJT로 구현된 MOSFET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는 다음과 같다. Q4가 OFF Q4가 OFF일때 Q4의 콜렉터(3번핀)에 걸리는 전압은 다음과 같다. VC ∽ (Vdrive - 0.7) x 10k / (10k + 1k) + 0.7 Q6의 베이스에 흐르는 전류는 다음과 같고 Q6가 ON 된다. IB = (VC - 0.7) / 10k 이 때 R12 양단의 전압은 다음과 같다. VR12 = Vdrive - VC - 0.7 R12에 흐르는 전류는 다음과 같다. IR12 = (Vdrive - VC - 0.7) / 10k R12에 흐르는 전류는 Q5의 에미터-베이스와 같다. 이 베이스 전류에 의해 Q5의 에미터-콜렉터 전류가 Q6을 거쳐 그라운드로 흐른다. Q5의 에미터-콜렉터 전류가 크면 손실이 커지고 Q5와 .. 2022. 8. 2. 로봇 컨트롤러 I/O 보드 아래 사진은 로보스타의 로봇 컨트롤러에 사용되는 I/O 보드이다. 입력에는 74HC244를 사용하고 출력에는 74HC574(D flip-flop)을 사용한다. 74HC244와 74HC57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버스와 연결된다. 2022. 8. 2. 인텔 i960 마이크로프로세서 인텔의 i960은 80960이라고도 한다. i960은 1990년대초 많이 사용된 인텔에서 만든 RISC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i960은 1990년대 많이 팔리고 성공했지만 인텔이 StrongARM을 생산하면서 1990년대말 마케팅을 중단한다. i960는 원래 80286이나 i386와 같이 범용 컴퓨터에 사용하려고 했지만 성공하지 못하고 대신 고성능 임베디드 시장에서 성공하게 된다. i960의 동작클럭은 모델에 따라 10~100MHz이다. i960가 사용된 곳은 다음과 같다. - 미국 F-22 전투기 - 한국 KA-1 훈련기 2022. 8. 1. 캐패시터 방전전류와 전압강하 전원단에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에서 짧은 시간 동안 큰 전류가 흐르면 전압강하가 발생한다. 다음 그림과 같이 T 시간 동안 I0의 전류가 흐를 때 전압은 V0까지 떨어진다. 전압 강하는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Q = I0 × T 이다. 예를들면, V = +24V, C = 1000uF, I0 = 5A, T = 5ms 이라면 전압 강하는 다음과 같다. V = 5A x 5ms / 1000uF = 25V ☞ 캐패시터 충방전 특성 2022. 7. 29. PLC 릴레이 융착 원인과 대책 PLC 릴레이 융착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지만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과전압/과전류가 인가되었기 때문이다. 릴레이에 과전압/과전류가 인가되면 릴레이 접점이 녹아 융착하게 된다. 릴레이 융착을 유발하는 과전압/과전류가 발생하는 원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릴레이에 유도성 부하 연결 릴레이에 MC와 같은 유도성 부하를 연결할 때는 스너버 회로나 다이오드와 같은 보호회로를 연결해야 한다. 이러한 보호회로 없이 사용하면 릴레이 OFF 시 유도성 과전압이 발생하여 접점을 손상시키고 융착될 수 있다. 2) 릴레이에 용량성 부하/캐패시터 연결 릴레이에 용량성 부하를 연결할 때는 충전 저항을 사용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릴레이 ON시 돌입 전류가 흘려 릴레이 접점을 손상시킨다. 릴레이 출력단에 병렬로 캐패.. 2022. 7. 28.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 커리큘럼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 과정의 일반적인 커리큘럼은 다음과 같다. 1. 마이크로프로세서 개요 2. 컴파일러 사용법 3. GPIO 포트 - LED On/Off 출력 - 스위치 입력 4. 인터럽터 5. 타이머/카운터 - Free-running timer - PWM 출력 - 펄스 카운터 6. UART 통신 7. A/D 변환 8. LCD 제어 9. 키패드 제어 인터럽터는 타이머/카운터나 UART 등에서 모두 사용하고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빨리 배우는 것이 좋다. 2022. 7. 28. 전자 엔지니어 기술 (기술별) 전자 엔지니어에게 필요한 기술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한사람이 아래의 모든 기술을 가지고 있기는 어렵다. ○ 회로설계 * 디지털 회로설계 * 아날로그 회로설계 * 파워 회로설계 ○ 마이크로프로세서 * MCU/MPU 회로 설계 * F/W 프로그래밍 ○ CPLD/FPGA * CPLD/FPGA 프로그래밍 ○ 전자 CAD * OrCad, PADS, Altium 등 * PSpice 시뮬레이션 ○ PC 프로그래밍 * Visual Studio C++/C# * 리눅스 프로그래밍 ○ 통신 * 시리얼 통신 - RS-232/422/485 * CAN 통신 * 이더넷 통신 * 무선 통신 - Zigbee, Bluetooth, WiFi 통신 ○ 모터 제어 * 스텝 모터, DC 모터, BLDC 모터, BLAC 모터 ○ 배터리 .. 2022. 7. 24. 스큐(Skew)란? 스큐(Skew)는 '비스듬이 움직이다'라는 뜻이다. Clock Skew 또는 Timing Skew는 동일한 디지털 신호가 다른 복수의 지점으로 전달될 때 각 지점마다 도착하는 시간이 달라지는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지점에 도착하는 각각의 신호는 다음과 그림과 같다. 이 때 2 지점의 신호 시간 차이가 스큐이다. ☞ 지터(Jitter)란? 2022. 7. 23. 지터 (Jitter)란? 지터(Jitter)는 '조금씩 움직이다'라는 뜻이다. 다음 그림의 (1)과 같이 일정 주파수의 펄스 신호가 있을 때 실제 출력되는 신호는 (2) 와 (3)과 같이 신호가 발생하는 시간이 조금씩 움직인다. 이것을 지터라고 한다. 지터가 발생한 신호들을 중첩해서 표시하면 다음 그림과 같아진다. 지터는 아래 그림에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Jitter = Skew / Interval x 100 [%] 통신선에서 지터가 크면 오신호로 인식되기 때문에 지터에 주의해야 한다. 아래 사진은 RS-485 통신선의 파형을 나타낸 것으로 왼쪽의 보라색 2선이 지터를 나타낸다. ☞ 스큐(Skew)란? 2022. 7. 23.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55 다음 반응형